본문 바로가기
감속기

복합적인 구성 옵션으로 완성한 모듈형 고정밀 감속기 솔루션, 흥진ATG KST 시리즈 소개

by ATG 감속기 2025. 4. 14.

복합적인 구성 옵션으로 완성한 모듈형 고정밀 감속기 솔루션, 흥진ATG KST 시리즈 소개

Modular High-Precision Gearbox Solution KGX

 

다양한 입력·출력 방식과 베어링 조합을 통해 설비 환경에 최적화된 모듈형 설계 솔루션 KST 감속기를 소개합니다. 폭넓은 사용폭 만큼 선택과 적용 조건이 다소 까다로워 제품을 어떻게 적용하느냐가 대단히 중요한 감속기입니다. 기본적으로 모터 연결 형태에 따라 단일입력 샤프트, 이중 입력 샤프트, 플랜지 세 가지로 나뉘며 고감속이 필요한 경우 2단(Stage-2) 구성이 가능합니다.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KST감속기 입력 옵션 ]

 - 싱글 인풋 샤프트 (Single Input Shaft / D타입) : 감속기 한쪽에 입력 용 샤프트가 돌출된 형태로 모터 축과 커플링하여 직접 구동합니다. 키홈이 있는 타입(D)과 키홈이 없는 타입(D1)으로 선택 가능하며 일반 산업 기계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형입니다. 
- 더블 인풋 샤프트 (Double Input Shaft  / Y타입) : 감속기 양쪽으로 연결 샤프트가 관통되어 두 방향 모두에서 구동하거나 제어용 부가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키홈 유무에 따라 Y(키홈 있음)와 Y1(키홈 없음) 모델이 있으며 한쪽은 모터 반대쪽은 엔코더나 핸들 등을 달아 동시 제어가 필요한 장비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산업용 로봇 관절에서 한쪽은 구동모터, 반대쪽은 제어용 센서를 연결하는 식으로 사용됩니다.
- 입력 플랜지 (Input Flange / F타입): 모터를 직접 볼트결합할 수 있는 플랜지 형상의 입력부를 갖춘 타입(F)입니다. 별도의 입력 샤프트가 없고 모터와 직결되도록 설계되어 서보모터와의 호환이 용이합니다. 로봇, 자동화 장비 등 직결 구동이 필요한 정밀 응용에 적합하며 설치가 간편하고 컴팩트한 장점이 있습니다.
 - 2-스테이지 인풋 (Reducer 2-Stage / R타입): 감속비 확장을 위해 1단 유성감속기가 내장된 형태입니다. 1단 베벨기어에 추가로 유성기어 단을 결합하여 고감속비(10:1 ~ 500:1)를 실현합니다. 예를 들어 10:1 이상의 감속비가 필요한 경우 이 R타입 입력부가 적용되며, 플랜지 입력 형태와 결합되어 고정밀을 유지하면서도 큰 감속비를 얻도록 합니다.

[ KST감속기 출력 옵션 ]

출력부 구성도 기계 장치의 요구에 맞게 여러 가지 옵션을 제공합니다. 출력 샤프트에 따라 중공형 출력, 솔리드형 출력, 플랜지형 출력 등으로 구분되며, 고정 방식(클램프링 유무)에 따라 세분됩니다. 

 - 할로우 출력 (Hollow Shaft / O타입) : 기어박스 중앙이 뚫린 중공축 타입으로 축 삽입형 출력을 제공하며 장비 설계 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 설비에서는 중공축을 통해 배선이나 유체 파이프를 통과시켜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 싱글 클램핑 출력 (Single Clamping Hollow / N타입): 중공축 내부에 클램프 메커니즘이 내장되어 출력축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타입입니다. N 타입은 한쪽 면에 클램프 장치를 갖춘 중공 출력으로 키홈이 있으며, N1 타입은 키홈 없이 마찰로만 체결하는 형태입니다. 클램핑 구조로 기계의 한쪽 방향에서만 축을 삽입해 조이는 용도로 컨베이어 롤러 구동 등에 활용됩니다.
 - 더블 클램핑 출력 (Double Clamping Hollow / M타입): 중공 출력축의 양측에 클램프를 갖춘 형태로 두 방향에서 출력축을 삽입하고 고정할 수 있습니다. 이중 클램프 구조는 큰 토크나 정밀 정렬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며 정밀 위치결정 테이블이나 테이블 장비 등에서 중심축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데 유용한 솔루션입니다. 
 - 솔리드 출력 샤프트 (Solid Output Shaft / S타입): 출력측이 돌출된 형태로 일반적인 축 커플링이나 기어, 풀리 등을 연결하기에 적합합니다. S타입은 한쪽 면에만 단일 솔리드 축이 돌출된 형태로 키홈이 있고 (S1 : 키홈 없음) V 타입은 출력축이 양쪽으로 돌출된 양측/더블 출력 샤프트형입니다 (V1 : 키홈 없음). 솔리드 출력은 AGV(무인 운송차량)의 구동축이나 포장기계의 롤러 등 일반 동력 전달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단면 출력은 한쪽에 벨트 풀리나 스프로킷(체인 휠)을 연결하는 데 쓰이고 양측 출력은 하나의 감속기로 두 축을 동시에 구동해야 하는 경우 (예: 한 쌍의 바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출력 플랜지 (Output Flange/P타입) : 출력측에 원판 형태의 플랜지가 달려 나사 체결을 통해 직접 대상물을 장착할 수 있는 타입입니다. 로봇 혹은 자동화 장비에서 테이블이나 암(arm)을 직접 볼트로 체결해야 하는 경우 유용하며 별도 커플링 없이 플랫폼을 바로 구동하는 설비 (예: 지능형 로봇의 관절, 인덱싱 테이블)에 적합합니다.

[ KST감속기 베어링 옵션 ]

 출력단 베어링도 용도에 따라 두 가지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출력 부하 조건에 맞춰 볼 베어링과 테이퍼 롤러 베어링 옵션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하중 지지 능력과 정밀도가 달라집니다 
 
 - 볼 베어링 (Ball Bearing / B타입) : 표준의 깊은 홈 볼베어링 지지 구조입니다. 볼 베어링 채택 시 마찰이 적고 고속 운전에 유리하며, 65~280 사이즈의 모델에 적용 가능합니다. 일반 자동화 장비나 모션 제어 등 중간 하중에서 부드러운 회전이 중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 테이퍼 롤러 베어링 (Tapered Roller Bearing / T타입) : 모델명에 T로 표시되며 테이퍼형 롤러베어링을 통해 출력축의 축방향·반경방향 하중 및 모멘트에 대한 지지 강도를 높인 구성입니다. 75~280 사이즈 모델에 제공되며 2~5 감속기, 1단 범위에서 선택 가능합니다. 롤러 베어링은 강성 증대와 흔들림 억제에 유리하여 로봇 관절, 서보 프레스 등 무거운 부하나 높은 모멘트가 작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출력 플랜지(P) 타입의 경우 강한 하중 지지를 위해 테이퍼 베어링만 선택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각 베어링 옵션에 따라 감속기의 최대 하중 용량과 수명이 변동 되므로 용도에 맞게 적절한 타입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하중 로봇 암에는 T 타입(롤러베어링) 구성으로 높은 강성과 정밀도를 확보하고 고속 경하중 컨베이어에는 B 타입(볼베어링)으로 매끄러운 동작을 확보
※ 제품 형번 구조와 의미는 하단 카탈로그를 참조해주세요. 

폭넓은 구성옵션,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요구를 충족하는 KST(솔루션 예)

KST 시리즈의 다양한 구성 옵션은 폭넓은 산업 분야의 요구를 충족하며 각각의 조합은 특정 응용분야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로봇 및 자동화 기계: 플랜지 입력(F) + 테이퍼베어링(T) + 출력 플랜지(P) 구성의 감속기는 다관절 로봇, SCARA 로봇 등의 관절구동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조합은 모터를 직접 장착하고 높은 강성으로 모멘트 하중을 견디며 백래시가 적어 정밀한 로봇 움직임을 구현합니다. 로봇 팔의 어깨 관절에는 KST-FSP(T)와 같은 타입을 사용하여 플랜지로 암을 체결하고 큰 관성 하중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 산업용 디스펜서 & 정밀제어 장비 : 이중 입력(Y) + 싱글 클램핑 출력(N) 구성은 접착제 디스펜서나 정밀 위치 제어 스테이지 등에 유용합니다. 모터와 엔코더를 양쪽에 연결해 정밀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고, 중공 클램핑 출력으로 튜브나 케이블을 내부로 통과시켜 컴팩트한 배치를 실현합니다. 
 - 컨베이어 시스템 & 물류자동화: 단일 입력(D) + 양측 출력 샤프트(V) 구성은 컨베이어 드라이브처럼 양쪽 벨트/체인을 동시에 구동해야 하는 설비에 적합합니다. 한 대의 감속기로 좌우 두 축을 함께 돌릴 수 있어 동기 구동이 필요하거나 공간 절약이 중요한 컨베이어에 사용됩니다. 또한 AGV의 구동에도 양측 출력형이 활용되며 하나의 모터-감속기로 좌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황에서 좋은 솔루션입니다. 
 - 공작기계 & 중장비: 테이퍼 베어링(T) 지원형 + 솔리드 출력(S) 구성은 서보프레스, 회전테이블, CNC분할대 등 고하중 정밀 장치에 응용됩니다. 솔리드 출력축에 캠이나 테이블을 직접 연결하여 강한 절삭 힘을 견디며 롤러베어링 지지로 뒤틀림 없이 정확한 각도를 유지합니다. 회전축이나 용접 포지셔너 등에 KST 시리즈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 포장기계 & 일반산업 기계: 볼베어링(B) 지원형 + 단순 중공 출력(O) 또는 단면 솔리드 출력(S) 구성은 식품 포장기계, 인쇄기, 일반 제조설비 등에서 고속 연속 구동 용도로 채택됩니다. 비교적 하중이 크지 않은 장비에서는 볼베어링 구조의 감속기로 마모를 줄이고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어 생산라인의 수명, 유지보수 향상으로 이어진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이처럼 ATG KST 시리즈 감속기는 모듈식 구성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장비에 맞춤 적용되고 있습니다. 각 구성 옵션별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례들이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에 가장 적합한 감속기 조합을 선택하여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동력 전달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10년 이상의 업력, 공장자동화, 감속기 최고 전문기업 주식회사 앱솔루텍

저희는 ATG감속기 공식대리점 주식회사 앱솔루텍입니다. 10년 이상의 자동화 프로젝트, 유통 경험과 정밀제어 분야의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감속기 선정부터 설치, 세팅, 사후 기술지원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업계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링 조직을 갖추고 있습니다. KST 시리즈처럼 다양한 사양 조합이 가능한 감속기는 정확한 분석과 제안이 중요하며 고객의 시스템 조건을 면밀히 파악해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겠습니다. 설비 최적화, 고정밀 제어, 설치 호환성에 대한 고민이 있으시다면 지금 바로 앱솔루텍으로 문의 주세요. 빠른 피드백, 정확한 기술지원, 차별화된 대응력으로 고객의 시간을 아끼고 가장 효율적인 자동화시스템의 완성을 돕겠습니다. 믿을 수 있는 공장자동화, 감속기 전문 파트너, 앱솔루텍입니다.

[ 흥진ATG 공식대리점 앱솔루텍 ]
  - 전화 : (본사) 032-719-4966~9, (서울영업소) 02-6396-4316, (경기영업소) 070-4866-4579 
  - E-mail : solu@abtech.co.kr, absolutech@naver.com, absolutech@daum.net
  - 팩스 : 0504-984-4316